커피는 요즘 기호식품으로 아주 각광을 받고 있고 점점 대중들에게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커피가 좋은 점도 있지만 여러 가지 부작용도 있습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것이 흰머리 입니다. 아마 커피가 흰머리를 만든다 하면 의아해하시고 우울하실 수도 있지만 왜 그런지 그 기전을 알아보고 또 어떻게 예방하면 좋을지에 대해서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카페인이 우리 몸에 끼치는 영향
커피에는 여러 가지 성분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아시다시피 카페인입니다. 이 카페인은 뇌혈관 장벽을 쉽게 통과합니다. 그래서 카페인이 중추신경인 뇌를 흥분시키고 자극하게 되는 것입니다. 뇌의 신경 전달 물질 중 adenosine과 norepinephrine이 있는데 서로 반대 작용을 합니다. 우리 몸을 많이 써서 피곤하면 집중도를 떨어트려서 잠이 오도록 유도하는 신경 전달 물질이 adenosine입니다. 반대로 우리 몸이 상쾌하면 집중도를 올려서 뇌로 피를 가게 해서 각성을 하게 하는데 이런 신경 전달 물질을 norepinephrine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커피 안에 있는 카페인이 adenosine과 화학적으로 유사하여 adenosine의 수용체에 붙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adenosine의 작용을 차단하게 됩니다. 카페인은 adenosine의 작용을 막아서 몸이 피곤한 것을 억지로 막고 dopamine을 분비시켜서 기분을 좋게 하고 norepinephrine을 분비시켜서 몸과 정신을 깨우도록 합니다. 이렇게 커피나 콜라, 초콜릿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몸과 정신에 졸림을 막고 깨우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 커피의 부작용 : 과도한 각성효과
그런데 문제는 좋은 것도 계속하게 되면 중독이 되듯이 카페인 중독도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커피를 마시게 되면 잠시 기분이 좋았다가 계속 마시게 되다가 갑자기 안 마시면 기분이 좋지 않게 되어서 그 기분을 계속 유지하려면 커피 양을 증가시킬 수밖에 없게 됩니다. 또한 각성을 일으키는 norepinephrine도 잠시의 커피로 올라갈 수 있겠지만 꾸준히 커피를 마시다 갑자기 마시지 않으면 norepinephrine이 급감하면서 쉽게 졸음이 오게 되고 몸이 피곤하게 되어서 결국에는 커피 양을 증가시킬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나중에는 커피 양을 점점 증가시켜서 norepinephrine 농도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데 급기야 나중에는 아무리 커피를 마셔도 졸음이 오고 심지어 밤에 마셔도 잠에 영향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은 오히려 건강해진 것이 아니라 커피 때문에 norepinephrine의 자극이 될 수 없을 만큼 부신이 망가졌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커피의 부작용 : 어지럼증, 흰머리, 만성피로, 탈모
몸도 마찬가지 입니다. 부신이 우리 몸의 보조 배터리 역할을 해서 팔다리로 피를 보내고 뇌로 피를 보내서 우리 몸을 보호하게 되는데 잦은 커피의 섭취로 이런 부신을 아주 많이 쓰게 되면 나중에는 부신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 부신의 기능이 떨어진 것이 갑자기 일어섰을 때 어지러움을 느끼는 기립성 저혈압으로 나타납니다. 이렇게 부신의 기능을 커피가 이용해서 내일 쓸 에너지를 오늘로 계속 당겨서 쓰게 되면 결국 미래에 쓸 에너지를 미리 쓰는 결과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는 몸이 급격하게 피로해진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몸이 피곤한 것은 기립성 저혈압으로 우리 몸이 표현하고 머리가 피곤하다는 것은 머리 쪽에도 피곤하다는 신호를 흰머리로 표현하게 됩니다. 모낭세포에서 단백질인 필라멘트를 만들어서 머리카락으로 표현을 하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머리카락이 만들어지는 모낭세포에서 검은색을 만들기 위해서 melanin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melanin은 melanocyte에서 만들게 되고 이 melanocyte는 melanocyte stem cell에서 만들게 되는 것이죠. 커피의 잦은 섭취로 norepinephrine이 줄어들게 되면 결과적으로는 melanocyte stem cell을 깨울 수 있는 norepinephrine이 줄어들게 되고 그렇게 되면 melanocyte가 적게 생성되고 melanin 생성이 적어질 수밖에 없고 급기야는 머리에 염색되지 않아 흰머리가 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죠. 또한 커피의 성분 중에 hydrogen peroxide는 tyrosinase의 산화를 야기시켜서 tyrosinase의 작용이 방해되어 결과적으로는 melanin 생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겠죠. 커피에는 좋은 성분도 있지만 머리카락을 흰머리로 만드는 성분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잠깐은 기분이 좋을지라도 장복을 하게 되었을 때는 머리카락의 건강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아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순수 커피가 아닌 우유를 넣은 라떼라던지 휘핑크림, 그리고 액상 과당 등 각종 첨가제를 무수히 많이 넣게 되기 때문에 이런 각종 첨가제가 커피와 함께 들어가게 되면 두피의 림프를 오염시킬 수 있겠죠. 두피의 림프 오염은 탈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그래서 커피만 마시더라도 흰머리를 일으키는데 이런 맛있는 종류의 커피를 같이 마시게 되면 그것이 또 중독되었을 때는 탈모와 흰머리가 같이 올 수 있다는 위험도 아셔야 한다는 것이죠.
㉣ 결론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 커피뿐만이 아니라 콜라라든지 차라든지 초콜릿 등의 기호식품이 잠시의 즐거움은 가져다 줄 수는 있겠지만 나중에 큰 괴로움으로 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이런 급격한 노화를 방지하려면 큰 용기를 가지고 기호식품을 끊고 잠을 일찍 자서 두피의 림프를 청소하고 몸에 있는 찌꺼기를 내뱉는 땀을 내서 몸을 움직이는 등 슬기로운 삶을 사셔서 몸과 마음을 좀 더 젊게 사시길 바랍니다.